기사 메일전송
한 해 교통사고 환자의 17.2%가 자전거 사고 - 자전거 사고 예방에 헬멧 착용은 필수
  • 기사등록 2019-05-09 16:21:23
기사수정

질병관리본부는 야외 활동이 증가하는 계절을 맞아  2012-2017년 동안 자전거 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현황 및 손상 발생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2012-2017)를 통해 매년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 관련 심층자료를 수집하여 손상 통계를 산출하였다.
자전거 사고로 인한 손상 환자 수는 4만 6635명으로 이는 전체 교통사고 환자(27만 828명) 중 17.2%에 해당되며, 남자(3만 6854명)가 여자(9,781명)보다 4배 가량 더 많았다.
특히 19세 이하 소아, 청소년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중 자전거 사고율(36.2%)은 성인(12.3%)보다 3배 높았으며, 이는 전체 자전거 사고율(17.2%)과 비교해서도 2배 높았다.  
자전거로 인해 손상이 많이 발생하는 소아, 청소년의 손상 발생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전거 사고는 주로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2-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봄철인 5-6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주중보다는 주말, 오전보다는 오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고, 자전거 사고로 인한 손상 부위는 외상성 머리손상(46.6%)이 주로 차지하며, 다음으로 상지(21.9%), 하지(15.7%)순으로 나타났으며, 사고 발생 시 헬멧 착용은 4.6%에 그쳐 대부분 미착용(70.3%)으로 나타났다. 손상 발생 시 활동 현황을 보면 여가활동(53.1%)과 일상생활(38.2%)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으며, 발생장소로는 주로 일반도로(44.5%)가 많았으며 골목길도 높은 비중(28.7%)을 차지하였다.
자전거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자전거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자전거 이용자라면 누구나 쉽게 지킬 수 있는 안전수칙은 다음과 같다.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 일반 안내수칙>


1. 자전거 헬멧을 착용합니다.
2. 음주 후에는 자전거를 절대 타지 않습니다.
3. 도로상에는 우측통행을 지키고 차량과 같은 방향으로 직선 주행합니다.
4. 이어폰과 핸드폰은 자전거 운행 시 사용하지 않습니다.
5. 가방과 짐은 짐칸에 고정하여 이동하도록 합니다.
6. 어두워지면 전조등과 반사등을 반드시 사용합니다.
7. 교차로나 골목길에서 방향을 변경하거나 정지 시 손신호를 사용합니다.
8. 주변에 보행자가 있을 시 경보벨을 울리거나 말을 하여 보행자의 주의를 유도합니다.
9. 내리막에서는 무리하게 속력을 내지 않으며 뒷바퀴에 먼저 제동을 가한 뒤 앞바퀴에 제동을 가합니다.
10. 상시적으로 브레이크 점검을 비롯한 자전거 정비를 시행합니다. 


<심동철 기자>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9-05-09 16:21:2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