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이 6조 5,111억원으로 2017년(5조 8,232억원) 대비 11.8%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 해마다 평균 9.0%로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8년 의료기기 수출은 3조 9,723억원으로 2017년 3조 5,782억원 대비 11.0% 늘어났으며, 수입은 4조 2,791억원으로 전년 3조 9,529억원대비 8.3% 증가하여 무역적자는 3,067억원으로 2017년 3,747억원에 비해 18.1% 감소하였다.
지난해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6조 8,179억원으로 2017년(6조 1,978억원)에 비해 10.0% 증가하였으며, 지난 5년간 매년 평균 성장률도 8.1%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전년 대비 11.8% 증가하였으며, 이는 2018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2.7%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품목별로는 치과용임플란트(1조 731억원) 생산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5,247억원), 성형용 필러(2,271억원) 순이었다.  
치과용임플란트 생산이 꾸준히 증가한 것은 인구 고령화와 건강보험적용 확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수출이 가장 많았던 품목은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6,467억원)이며, 치과용임플란트(2,718억원), 성형용 필러(2,341억원)가 뒤를 이었다.
특히 수출 상위 30개 품목 중 전년 대비 수출이 크게 늘어난 품목은 에이즈, B형 C형 간염 등 면역검사시약으로 2017년 499억원 대비 955억원으로 91.3% 증가하였으며, 이는 이집트로의 수출(299억원)이 급증한 데 따른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이집트에서 에이즈 감염 사례가 연간 40%씩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MRI, 스텐트 등 기술력이 높은 의료기기는 수입 의존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상위 10대 수입품목의 수입액은 총 8,981억원으로 전체의 21.0%를 차지하며, 1위는 매일착용소프트콘택트렌즈(1,688억원), 2위는 관상동맥용스텐트(1,124억원), 3위는 MRI 촬영장치(1,028억원) 순이었다. 상위 10위 품목 중 수입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은 다초점인공수정체(568억원, 105.8%)로, 이는 백내장 수술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됩니다.


<엄지연 기자>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9-04-29 16:36:4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