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당뇨병 환자 10명 중 7명 “주사 요법 부담으로 치료 시기 지연” - 「당뇨인 주사 치료 접근성 강화를 위한 토론회」개최 및 개선 방안 논의
  • 기사등록 2015-07-01 00:21:24
기사수정

  2 당뇨병 환자 10 7명이 의료진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주사 요법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치료 시기를 놓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당뇨환우연합회(대표 염동식, http://www.dangmember.kr) 주사(인슐린) 치료 경험이 있는 중증 당뇨병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중증 당뇨병 환자의 주사 요법 치료 현황>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는 한국당뇨환우연합회와 최동익 의원(새정치민주연합, 보건복지위원회) 공동 주최한 「당뇨인 주사 치료 접근성 강화를 위한 토론회」에서
29
일 발표됐다.


 


조사에 따르면 당뇨병으로 일상 생활에서 불편을 느낀다고 답한 환자가 86%
달했으며 이중 46%는 일상 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당뇨병이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단
14%
에 그쳤다.


 


주사 요법 시작 시점을 확인해 결과 70.3% 달하는 응답자가 의료진에게 주사 요법을 권고 받고도 편의성 등을 이유로 치료를 미뤄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 요법을 권고 받은 환자가 치료를 시작하기까지 평균 5.9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사 요법 시행 치료를 기피하는 원인으로 치료 편의성 74.3(100 만점 기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적 측면이 72.4점으로 뒤를
이었다. 치료
편의성 항목에서는 ▲ 자가 주사용 펜 사용 불편
78.5
점 ▲ 잦은 투여 횟수에 대한 부담 79.6점 등의 순이었으며 신체적 측면에서는
▲ 주사 바늘에 대한 공포 73.2점 ▲ 인슐린 치료에 따른 저혈당 쇼크 발생에 대한 우려 71.9점으로 확인됐다.


 


과거 주사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으나 현재는 중단한 환자 100 77%(77) 본인의 의지로 치료를 중단했으며 부작용으로 인해 의료진이 치료 중단을 권고한 경우는 23% 그쳤다. 본인 의사로 치료를 중단한 경우에는 투여 방법의 불편(70.1), 의료진이 치료를 중단한 이유는 저혈당 발생(69.6) 주요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 의료진의 권고보다 편의성이 떨어져 환자 스스로 치료를 중단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외 토론회에서는 주사 치료에 대한 당뇨병 환자의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대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졌다.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유형준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1부에서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조재형 교수가당뇨병 환자의 주사 치료, 무엇이 문제인가?’ 주제로 주사 치료 필요성 중요성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2부에서는주사 치료제 접근성 강화, 대안은 무엇인가?’ 주제로 발제자와 함께 대한당뇨병교육간호사회 송복례 간호사, 한국당뇨환우연합회 환우,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 이윤신 사무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최병철 진료심사위원, 동아일보 이진한 의학전문기자가 패널로 참여해 토론을 진행하였다.


 


종합 토론에서는 당뇨병 환자를 위한 교육의 실질적인 고충, 환자 입장에서 주사 치료가 가져오는 일상 생활의 부담을 비롯해 환자와 의사의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논의 되었으며, 당뇨병 주사 치료 옵션 확대에 대한 문제 제기와 대책 마련 필요성에 대한 의견이 모아졌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조재형 교수는환자들이 느끼는 주사 치료의 거부감과 불편함을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편의성이 개선된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환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인슐린으로 치료 받는 환자에 대한 보험 제도적 지원뿐만 아니라 인슐린의 대표적인 부작용인 저혈당 발생 체중 증가 효과를 개선한 새로운 주사 치료 옵션들이 급여를 통해 환자들의 치료 효과 삶의 개선이 이뤄지길 바란다 전했다.


 


한국당뇨환우연합회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5-07-01 00:21:2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