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18년 자살사망자수 증가는 모방 자살 효과 등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 - 올해 7월까지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8% 내외 감소 추정 - 자살예방정책위원회(9.9)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 보완대책 등 차질 없이 추진
  • 기사등록 2019-09-24 19:01:51
기사수정

[대한식품의약신문=심동철 기자] 2018년 사망원인통계에 대한 마이크로데이터, 자살사망자 전수조사 등의 통계에 따르면, 2018년 자살사망자는 1만 3670명으로 2017년보다 1,207명 증가(9.7% 증가)하였으며,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6.6명으로 9.5% 증가(`17년 24.3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자살률은 38.5명, 여성은 14.8명으로 남성이 2.6배 높으며, 전년에 비해 남성은 10.4%, 여성은 7.4% 증가하였다.
연령별로 보면 자살률은 80대 이상, 70대, 50대, 60대 순이었으며 전년대비 8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증가율은 10대, 40대, 30대 순으로 높았다.
월별로는 1월, 3~4월, 7월에 전년대비 증가폭이 컸다.
자살률은 다양한 제도적, 사회적,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한두 가지의 원인만으로 정확한 설명을 할 수는 없으나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자살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요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자살의 핵심적 위험 요인>
(보건의료체계 요인) 보건의료 서비스에의 접근성
(사회적 요인) 자살수단에 대한 접근성, 자살사건에 대한 미디어의 부적절한 보도, 도움을 요청하는 행위에 대한 사회적 편견
(공동체 요인) 재난·전쟁 등, 문화적 부적응, 사회적 차별, 트라우마, 학대 등
(관계 요인) 사회적 고립감, 사회적 지지의 결여, 이혼·사별 등
(개인적 요인) 과거의 자살시도, 정신질환, 알콜의 유해한 사용, 실업 및 경제적 어려움, 무망감, 만성적 질병 및 통증, 가족 등의 자살

2018년 심리부검 결과보고서(중앙심리부검센터)에 따르면 자살사망자 1인당 평균 3.9개의 생애 스트레스 사건이 복합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되어 이 같은 사실을 뒷받침 하고 있으며, 다만, 지난해에는 언론을 통해 보도된 유명인 자살사건으로 인한 모방 효과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17년 12월부터 2018년에 가수, 배우, 정치인 등 유명인 자살사건이 발생하였고 이와 함께 2018년에는 자살과 관련한 인식이 악화되어 자살사망자수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015년 국내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유명인 자살사건으로 인한 모방 효과가 하루 평균 6.7명으로 나타났으며, 유명인의 특성에 따라 가장 큰 경우에는 하루 평균 29.7명까지도 나타난 바 있다.
지난해 유명인 자살사건 시기와 자살사망자수 증가 시기가 유사하여 모방자살의 효과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정확한 분석은 향후 추가 자료를 확보하여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실태조사 중 ‘자살에 대한 국민태도 조사’ 결과 자살에 대한 허용적 태도는 높아지고, 자살예방 인식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을 받아들여야 할 상황이 있을 수 있다는 인식이 증가(’13년 2.43점→’18년 2.61점)하였으며, 고통 받는 상황에서 자신이나 타인의 자살을 용인하는 태도가 증가(’13년 2.96점 → ’18년 3.02점)하였다.
자살은 예방할 수 있다는 인식은 감소(’13년 3.61점 → ’18년 3.46점)하였으며, 다른 사람의 자살 결정에 간섭하지 않는 편이 낫다는 인식은 증가(’13년 2.76점 → ’18년에는 2.85점)하였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1990년 이전 인구 10만 명당 7~8명대를 유지하다 2011년에 31.7명까지 높아졌고, 2011년에 자살예방법을 제정하고, 중앙자살예방센터(`12), 중앙심리부검센터(`14)를 설치하는 등 중앙 차원의 노력이 있었으며, 98년부터 정신건강복지센터를 확충하고 각 지자체별 자살예방 조례를 제정하는 등 지역에서도 지속적인 노력이 있었고 민간분야에서도 한국자살예방협회, 생명의전화,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등 다양한 단체들이 자살예방을 위해 노력하여 왔다.
이러한 결과로 2011년 이후에는 2013년 일시적 증가를 제외하고 대체적으로 자살률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지난해 자살사망자수는 증가하였으나, 올해 7월까지는 2018년 대비 약 8% 내외(약 600명대 내외)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올해 3~5월에 방문서비스 제공자를 통한 자살 고위험군 선별(스크리닝) 및 서비스 연계(매년 자살률이 가장 높은 3~5월에 독거노인생활관리사 등 방문서비스 인력을 통하여 우울증 스크리닝 및 자살 고위험군은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등 실시) 등 지속적인 정책적 노력이 있었으며, 그 외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의 정책적 효과도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18.1)은 범부처 참여로 수립된 계획으로 실효성 있는 정책들로 구성되었고 특히 WHO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책방향을 대부분 받아들여 자살예방을 위한 구체적 행동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국가행동계획 수립 이후 올해까지는 추진체계 강화, 정책근거기반 마련, 법령 정비 등 정책 기반(인프라) 마련에 집중하고 있으며 자살예방 전담부서 설치(’18.2.), 생명존중정책 민관협의회 발족(’18.5.), 자살예방정책위원회 출범(’19.9.) 등 추진체계 정비 등을 기하고 있다.
또한 자살예방정책이 근거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난 5년간(’13.~’17.) 자살사망자를 전수조사를 추진 중이며 자살유발정보 유통 금지(’19.7.), 자살시도자 등 긴급구조 근거 마련(’19.7.) 등 자살예방법을 개정하였다.
지난 9일 개최된 자살예방정책위원회에서는 자살시도자와 유족 등 고위험군 지원에서 정책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국가행동계획의 보완대책을 마련하였으며 이와 함께 모방자살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경찰, 소방 등과 협조하여 유명인 자살사건 대응 역시 강화할 예정이다.


goldizzim@hanmail.net




WHO 권고 자살예방 정책수단과 국가행동계획 비교(Preventing suicide: A global imperative, WHO, 2014)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9-09-24 19:01:5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